Semi-Quantitative Scoring of Late Gadolinium Enhancement of the Left Ventricle in Patients with Ischemic Cardiomyopathy: Improving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Agreement Using Consensus Guidance from the Asi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maging-Practical Tutorial (ASCI-PT) 2020
허혈성심질환 환자의 좌심실 지연조영증강영상의 반정량적 점수화 방법: ASCI-PT 2020 합의지침에 기반한 관찰자관 신뢰도 개선
Korean J Korean J Radiol. 2022 Mar;23(3):298-307. https://doi.org/10.3348/kjr.2021.0387고려대병원 김채리 교수님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김채리입니다.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웹진에 저희 논문을 소개하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본 논문은 2020년에 Asi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maging-Practical Tutorial 2020 (ASCI-PT 2020) 행사를 치르면서 심장 MRI의 late gadolinium enhancement 영상의 myocardial viability scoring에 대한 consensus statement를 발표하게 되었는데, 이 consensus statement를 사용하였을 때 myocardial viability scoring을 하는 데에 있어서 얼마나 각 reader들의 interobserver reliability와 agreement가 향상되었는지를 보는 주제였습니다.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어떤 내용이 ASCI-PT 2020에서 작성된 consensus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다음 표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혹은 “Semi-Quantitative Scoring of Late Gadolinium Enhancement of the Left Ventricle in Patients with Ischemic Cardiomyopathy: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si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maging-Practical Tutorial (ASCI-PT) 2020. Cardiovasc Imaging Asia. 2021 Apr;5(2):26-36 https://doi.org/10.22468/cvia.2021.00024”의 논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직접 찾아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본 논문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이전에는 기관마다 혹은 각 개인마다 myocardial viability scoring의 기준이 모두 달랐다면, 어떤 특정 기준 (ASCI-PT 2020 consensus statement)을 제시하고 난 뒤에 myocardial viability scoring의 interobserver reliability와 agreement가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 볼 수 있듯, 심지어 score의 점수가 아예 달라진 경우가 꽤 많았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최근의 Surgical Treatment for Ischemic Heart Failure (STICH) trial에서 심장 MRI에서 평가한 myocardial viability가 revascularization의 장기이득에 있어서 큰 연관이 없었다는 결과를 재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조심스레 해 보았습니다. ASCI-PT 2020 consensus statement와 같은 명확한 기준 하에서 심장 MRI의 myocardial viability를 평가하였더라면, 아마 다른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을까 하고 말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 ASCI-PT 2020 consensus statement가 심영 회원님들의 진료와 연구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