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
■ 지난뉴스레터보기 |
|
|
|
발행인 최병욱 편집인: 이헌, 이혜정, 김화선 |
News Letter Vol.11 |
|
11TH Issue (December 2011) |
|
목 차
- 심장 CT 3D보험삭감에 대한 대표 소견서
- 심장 CT 보험삭감에 대한 대표 소견서
- 심장 CT인증 시험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
|
- 회원 동정
- 2012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잠정일정
- 2012 심장 영상 관련 주요 해외학회 일정 |
심장 CT 3D 보험삭감에 대한 대표 소견서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총무 최상일
심장 CT영상은 비약적인 MDC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심장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 완벽한 3차원적 영상의 재구성 (post processing)이 가능하여지기 시작한 16열 다중검출기 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이 도입된 이후, 64열 다중검출기 CT 이상의 기종이 이미 국내에도 도입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심장 CT는 우리 몸의 다른 부위와는 달리, 끊임없이 박동하고 (움직이고) 하며 매우 작은 직경의 구불거리게 주행하는 관상동맥을 평가하여야 하는 특수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장 CT의 판독에 있어서는 2차원적 구조뿐만 아니라 3차원적 구조 (3D) 및 심기능 평가를 위한 영화 영상 (cine image, 4차원 영상)이 가능한 독립된 workstation이 필요합니다. 실제 판독에 있어서 3차원 영상 (3D) 을 위한 영상재구성 기법인 multiplanar reformations (MPRs), maximum intensity projections (MIPs), curved multiplanar reformations (cMPRs), and volume-rendering technique (VRT) reconstructions등을 이용하여 판독을 하는 것이, 환자의 정확한 상태 평가를 위하여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됩니다. 실제 세계적인 학회에서 만든 가이드라인에서도 다양한 3차원 영상재구성 기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내용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1 (별첨). Mark DB et al. ACCF/ACR/AHA/NASCI/SAIP/SCAI/SCCT 2010 Expert Consensus Document on Coronary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irculation. 2010;121:2509-2543.
Page 2515: “The final phase of the CT angiogram study is the creation of 2-dimensional (2D) reformatted images and 3D volume-rendered images from the transverse reconstructions.~~” “Volume rendering provides a 3D reconstruction that can be useful for displaying large amounts of data in a single view.~~”
참고문헌 2 (별첨). Raff GL, Abidov A, Achenbach S, et al. SCCT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and reporting of coronary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J Cardiovasc Comput Tomogr. 2009;3:122–36.
Page 123: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images should be acquired as isotropic sub-millimeter 3-dimensional electrocardiogram (EKG)–gated data sets, which facilitate reconstruction and display in a variety of image formats.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coronary anatomy, the frequency of motion and
|
|
N·O·T·I·C·E |
|
calcium-related image artifacts, and the morphologic subtleties of lesions, interpreters must review CCTA interactively on workstations capable of 2- and 3-dimensional displays in all conventional reconstruction formats.~~”참고문헌 3 (별첨). Hoe JWM, Toh KH. A practical guide to reading CT coronary angiograms—How to avoid mistakes when assessing for coronary stenosis. Int J Cardiovasc Imaging (2007) 23:617–633
Page 621: “Table 1 How to reduce false negative scan result (i.e. not miss plaque or a significant stenosis) Use 3D-VR or 3D-MIP images to get overview and look for segment of stenosis not obvious on axial data sets, especially if no calcium present ~~~”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모든 가이드라인은 심장 CT영상의 판독에 있어 3차원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재구성 기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환자상태의 정확한 평가 및 향후 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서 필수불가결한 기법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심장 CT 영상의 에서 주요한 평가대상인 관상동맥은 작고 구불거리며 주행하며 또한 끊임없는 심장박동에 의하여 영상의 질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특히 다른 장기와 비교하여, 심장 CT영상은 3차원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재구성 기법에
있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 소요시간이 매우 길고 고가의 장비 (3차원영상 재구성을 위한 고가의 워크스테이션)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전산화단층영상진단(CT)의 산정기준의 고시가 2004년에 이루어졌고, 심장 CT는 그 이후에서야 임상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어, 현재까지 심장 CT는 기존의 흉부 CT 수가와 동일한 수가를 받고 있다는 점도 앞으로 개선되어 야 할 문제점으로 생각합니다.
심장 CT의 정확한 판독 및 최적의 환자 진료를 위하여서는 3차원 영상 (3D) 기법은 필수 불가결하며, 이에 대한 삭감은 가이드라인등에 의거한 학문적인 고찰이나 실제 진료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루어 진 것이라 사료됩니다. 더구나 수년 전 심평원에서 이러한 심장 CT의 3차원영상 (3D)에 대한 실사를 위하여 분당서울대병원 및 일산백병원등을 방문하여, 그 중요성 및 3차원영상 (3D)의 추가 수가급여에 대한 타당성에 대하여 이미 충분이 조사를 하여 이해하고 받아들였던 적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심장 CT의 3차원 영상 수가의 삭감은 전혀 납득이 되지 않는 부당한 조치입니다. 특히 심장 CT에, 이에 대한 새로운 고시기준의 제정을 신속하고 깊이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
심장 CT 보험삭감에 대한 대표 소견서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회장 최병욱
심장영상의학은 다양한 심장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 MDCT의 비약적인 발전은 심장질환 진단에서 다른 종류의 비침습적 부하검사나 심초음파검사 후 침습적관상동맥조영술로 연결되는 과거의 임상진단 순서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기술적인 발전에 따라 CT의 적응증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64열 다중검출기 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의 보급이 확대되어 많은 병원에서 심장 CT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장 CT는 2003년부터 임상에 도입되어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비약적인 C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심장질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64열 다중검출기 CT의 시대를 지나, 256열 또는 640열 다중검출기 CT가 이미 국내에도 도입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산화단층영상 진단(CT)의 산정기준의 고시는 2004.6.24에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에 우리나라에 보급된 CT기종은 초기수준의 16열 다중검출기이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심사기준을 바탕으로 심장 CT 보험적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심대한 문제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특히 전세계적인 guideline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는 AHA/ACC를 비롯하여, 이미 많은 국내외 학회에서 이러한 적응증에 대하여 guideline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진료 및 보험적용이 이루어져야 함이 타당할 것입니다. |
|
첨부해드리는 guideline은 2000년 발표된 ACCF/SCCT/ACR/AHA/ASE/ASNC/NASCI/SCAI/SCMR 2010 appropriate criteria와 아시아 심장혈관영상의학회에서 발간된 ASCI appropriate criteria입니다. 이번에 본 병원에서 삭감된 CT 검사들을 순번대로 적응증을 확인하여 보았을 때, 모든 환자들이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별첨). 따라서 이에 대한 삭감은 환자에게 적절한 의료행위를 박탈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더욱이 심장 CT는 여러 가지 비침습적 영상 중에서 가장 뛰어난 정확도를 자랑할 뿐만 아니라, 그 동안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SPECT와 비교하여 비용 및 방사선피폭량에 있어서도 절반 이하의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욱이 고식적 관상동맥조영술 (CAG)를 시행함에 앞서 gatekeeper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점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심장 CT는 뛰어난 진단적 정확도 이외에도, 보험재정의 절감이나 환자의 방사선 피폭 등의 측면에서도 반드시 환자진료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사료됩니다.
결론적으로 전산화단층영상진단(CT)의 산정기준의 고시가 2004년에 이루어졌으며, 심장 CT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비용대비효과에 관한 논문이 국내외로 많이 나와있는 상태일 뿐 아니라 임상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고시기준의 제정을 신속하고 깊이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
심장 CT인증 시험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2011년 9월 25일 (일요일)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치러진 1회 시험에 134명이 접수하였고, 129명이 응시한 결과, 127명이
합격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
|
* 내년 시험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원서접수 및 심사
9월 16일 시험
- 장소 : 연세의대 2,3학년 강의실 |
|
|
회원 동정
- 2011 ESCR에서 가천의대 성연미 선생님이 “Reliability Analysis of Visual Ranking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on Low-Dose CT of the Thorax for Lung Cancer Screening: Comparison with ECG-gated Calcium Scoring CT”란 연구로 Magna Cum Laude를 수상하였습니다.
- 2011 RSNA에서 서울의대 최상일 선생님이 “Myocardial infarction”이란 연구로 Cum Laude를, 서울의대 전은주, 가톨릭의대 이배영, 울산의대 양동현 선생님이 Certificate of Merit을 수상하였습니다.
- 2011 Philips Netforum “ Publication of the Year” 에서 서울의대 전은주 선생님이 “Reproducibility in the assessment of noncalcified coronary plaque with 256-slice multi-detector CT and automated plaque analysis software”란 연구로 Honorable mention에 nomination 되었습니다. |
|
- 회원 연수
|
연수 중: |
|
중앙의대 서재승, (2011.3-2012.2) Duke University, North Carolina
건양의대 조영준 (2011.12-2012.12)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
|
연수예정: |
|
서울의대 전은주 (2012.7.1-2013.6.30)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
|
|
2012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잠정일정
1월11일(수) |
Imaging Conference |
삼성서울병원 |
2월9일(목) |
월례집담회 |
장소 미정 |
3월8일(목) |
월례집담회 |
장소 미정 |
3월17일(토) |
Cardiac Imaging Day (Bayer Healthcare 공동주최) |
쉐라톤 워커힐 |
4월22일(일) |
심장영상진단을 위한 기초질환연수강좌 |
세브란스병원 은명대강당 |
4월27일-29일(금-일) |
심흉영 공동학술대회 (대한심장혈관영상의학회 12차 학술대회) |
제주도 해비치 콘도 |
5월10일(목) |
월례집담회 |
장소 미정 |
6월7-9일(목-토) |
ASCI in Bangkok |
|
6월24일 (일) |
심장혈관영상의학 기초 연수강좌 |
서울성모병원 마리아홀 |
7월12일(목) |
월례집담회 |
장소 미정 |
8월26일(일) |
심장CT 전문 연수강좌 |
서울성모병원 마리아홀 |
9월16일(일) |
심장 CT 인증제 시험 |
연세의대 2,3학년 강의실 |
10월18-20일(목-토) |
영상의학회 학술대회 |
|
11월11일(목) |
월례집담회 |
장소 미정 |
12월8일(토) |
송년 심포지움 |
장소 미정 |
|
|
2012 심장 영상 관련 주요 해외학회 일정
Society for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SCMR: Orlando, FL. February 2-5, 2012) |
The 6th Congress of Asi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maging (ASCI: Bangkok, Thailand, July 7-9), 2012) |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SCCT: Baltimore, Maryland. July 19-22, 2012 |
North American Society for Cardiovascular Imaging (NASCI: Pasadena, CA. October 13-16, 2012) |
European Society of Cardiac Radiology (ESCR: Barcelona, Spain. October 25-27, 2012) |
|
|
63-50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300 분당서울대병원영상의학과 사무실
TEL : 031-787-7619 FAX.031-787-4070 E-mail: arthe012@gmail.com
COPYRIGHT BY THE KOREAN SOCIETY OF CARDIAC IMAGING. ALL RIGHTS RESERVED.
|
|
|
|